돈(화폐), 그것은 무엇인가?

달어 다발과 동전들

우리는 매일 돈을 사용한다. 지갑 속 지폐와 동전, 화면 속 계좌의 숫자들은 너무나 익숙해서 오히려 본질을 잊기 쉽다. 하지만 돈은 단순한 종이나 숫자가 아니다. 돈을 이해하는 순간, 우리는 경제를 보는 눈을 넓히고 재정을 관리하는 균형 잡힌 관점을 얻을 수 있다.

돈의 세 가지 얼굴

경제학자들은 돈의 기능을 세 가지로 설명한다.

  1. 교환의 매개체
    돈은 거래를 가능하게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다. 만약 마트에서 10만 원어치 장바구니를 염소 한 마리로 치르려 한다면, 주인이 염소를 원할 때만 거래가 성립한다. 그러나 돈은 누구에게나 통한다. 물물교환의 불편을 해결한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이다.
  2. 가치의 단위
    돈은 사물의 가치를 표현하는 기준이다. “10만4천 원”이라는 가격표는 곧바로 이해되지만 “6분의 1마리 돼지”라는 표현은 혼란스럽다. GDP, 소득, 기업의 재무제표까지 모두 돈이라는 공통 언어가 있기에 가능하다.
  3. 가치의 저장소
    돈은 다른 재화를 잠시 가치로 바꾸어 보관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돈만 쥐고 있으면 문제가 생긴다. 화폐가 늘어나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이 돈의 ‘저장 기능’을 위협하는 이유다.

눈에 보이지 않는 돈의 세계

우리가 쓰는 돈의 대부분은 지폐나 동전이 아니다. 실제로는 은행 계좌에 기록된 숫자로 존재한다. 카드를 긁거나 계좌이체 버튼을 누를 때 움직이는 것은 눈에 보이는 지폐가 아니라 전산망 속의 디지털 머니다. 이른바 ‘현금’은 전체 돈의 작은 일부에 불과하다.

법정화폐, 신뢰 위에 선 돈

원화 역시 법정화폐(fiat money)다. 이는 금이나 은처럼 실물 자산에 의해 보장되지 않는다. 오직 정부의 보증과 사회적 신뢰에 의해 가치가 유지된다. 달러든 원화든, 우리가 그것을 돈으로 인정하는 순간에만 힘을 갖는다. 결국 돈은 종이가 아니라 신뢰의 제도화라 할 수 있다.

돈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돈은 목적이 아니다. 우리는 돈을 통해 원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얻고, 미래를 준비한다. 따라서 돈을 쌓아두는 행위보다, 돈이 지닌 교환과 측정, 저장의 기능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돈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재정 관리의 출발점이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