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과 습기: 왜 비 오면 스타일이 무너질까?

머리카락 날림

아침에 공들여 드라이한 머리가 집을 나서는 순간, 습기 때문에 곱슬거리거나 모양이 무너진 경험이 있을 것이다. 마치 머리카락이 기상캐스터처럼 “오늘은 습하다”고 신호를 보내는 듯하다. 실제로 이 현상은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라 분자 수준의 화학 반응 때문이다.

머리카락의 뼈대, 케라틴

머리카락은 대부분 케라틴(keratin)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케라틴 섬유는 두 가지 결합으로 형태를 유지한다.

  • 이황화 결합(다이설파이드 브리지): 매우 강력해 열이나 화학 처리로만 끊어진다. 파마는 이 결합을 인위적으로 끊고 다시 결합해 새로운 모양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 수소 결합: 훨씬 약하고 물에 민감하다. 건조한 공기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습도가 높아지면 쉽게 끊어지고 무질서하게 다시 맺힌다.

습기와 머리카락의 변형

공기가 습하면 머리카락 속에 수분이 스며들어 수소 결합이 흔들린다. 이 과정에서 머리카락은 원래의 세팅을 잃고, 새로운 결합이 제멋대로 맺히면서 곱슬거리거나 모양이 무너진다. 그래서 드라이어나 고데기로 완벽하게 말린 머리도 비 오는 날 외출하면 한순간에 흐트러진다.

머리카락이 만든 과학 도구

머리카락 습도계

소쉬르의 머리카락 습도계

By Charles Christopher Trowbridge, Public Domain, wikimedia commons.

흥미로운 사실은 이 성가신 현상이 재미있는 과학적 발상을 낳기도 했다는 점이다. 18세기 스위스 과학자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Horace Bénédict de Saussure)는 머리카락이 습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를 이용해 머리카락 습도계(hygrometer)를 발명했는데, 일종의 ‘머리카락 날씨 예보기’ 같은 거 였다.

마무리하며

머리카락이 습기에 반응하는 이유는 단순한 습도 변화 문제가 아니라, 단백질과 분자 결합의 과학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나쁜 헤어데이를 맞을 때마다 사실은 작은 실험실을 몸에 달고 다니는 셈이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